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설정
- 자바스크립트
- 파이썬
- javascript
- 윈도우
- 스크립트
- 아틀라시안
- 하모니카
- Windows
- 리눅스
- 노드
- Atlassian
- DATABASE
- script
- ubuntu
- PostgreSQL
- java
- python
- Linux
- 자바
- install
- 데이터베이스
- JS
- hamonikr
- 설치
- 우분투
- node
- postgres
- 3.0
- DB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195)
LukeHan 의 잡다한 기술 블로그

서버 이전 진행 중 기존의 postgresql 과 동일한 버전을 설치 하였으나 이전과는 설치방식(대화형으로 변경됨) 및 설치경로가 달라져 있었다. 변경된 postgresql 의 기본 설정을 유지하며 설치 진행. 설치한 뒤 sudo -u postgres psql template1 로 접속하려 하였으나 psql 을 찾을 수 없다는 로그를 출력 참고를 확인해 보면 sudo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postgres 의 경로를 추가해야 한다고 한다. 경로 확인 sudo -u postgres printenv PATH # 출력된 결과물 /usr/local/sbin:/usr/local/bin:/usr/sbin:/usr/bin:/sbin:/bin:/snap/bin 출력내용을 보면 psql 의 경로가 없다. 해당 경로를 추..

※ 본 글은 하모니카 SUN 에서 진행되었습니다. ※ 우분투 계열 리눅스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합니다. 카카오톡은 리눅스 버전을 제공하지 않아 와인을 기반으로한 구동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. 작년 카카오톡 측에 리눅스 버전 제작에 대해 문의 한 적이 있으나 일정이 없다는 답변을 받았었습니다. 아마.. 지금도 다르진 않을거라 생각 됩니다. 하모니카 OS 에서 카카오톡 설치 및 사용하는 방법은 하모니카 커뮤니티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. 하모니카 4.0 - 카카오톡 설치하기 : https://hamonikr.org/83829 해당 방법은 우분투 계열 OS 에서 설치 및 이용은 가능하나 윈도우나 맥OS 에서 만큼의 안정성을 제공하지는 못합니다. 보다 안정적인 다른 방법을 찾던 중에 아래의 글을 발견하게 됩..
우선 기존 버전의 ssh listen 포트 확인법 netstat -an | grep ssh Centos7.1503 에서 listen 포트 확인법 ss -tnlp | grep ssh
마우스를 이미지에 클릭하면 startDrag의 함수가 시작 됩니다 마우스를 이미지에 클릭하면 startDrag의 함수가 시작 됩니다

컨플루언스에서 하위 페이지 숫자를 출력하기 위해선 사용자 매크로를 사용해야 합니다. 설정하기 좌측 상단의 '설정 > 일반 환경 설정' 을 클릭합니다. 우측 메뉴의 '사용자 매크로' 를 클릭합니다. '사용자 매크로 만들기' 를 클릭합니다. 매크로 탐색기 정보 매크로 이름 : 사용자 매크로 이름입니다 보이기 : 모든사용자 혹은 시스템 관리자 에게만 보일지 선택합니다. 매크로 제목 : 사용자에게 보여질 매크로 제목을 입력합니다. 설명 : 해당 매크로에 대한 설명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분류 : 매크로를 분류할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아이콘 URL : 매크로에 사용할 아이콘을 지정합니다 하단의 탬플릿 항목에 아래의 코드를 입력합니다. ## @noparams #set ( $Long = $generalUtil.syst..

참고 : blog.naver.com/PostList.nhn?blogId=s2kiess 부팅 이란 PC 전원이 들어온 후 운영체제가 실행되기 전 과정을 말한다. 하모니카로 치면 하모니카 로고가 나오기 전까지 과정을 부팅 과정이라고 하는 것이다. 이 과정에서 프로세스 초기화, 메로리와 외부 디바이스 검사 및 초기화, 부트 로더 호출 및 OS 시작 등의 작업을 한다. 간단히 말해 모든 것을 초기화 하고 OS를 로딩하는 과정이다. 부팅 과정에서 H/W 관련된 작업들을 BIOS (Basic Input/Output System) 가 수행하고, BIOS가 하는 각종 작업들을 POST(Power On Self Test, 자가진단) 라고 한다. BIOS는 펌웨어다. 메인보드에 포함되어 있어 종류에 따라 다른 BIOS 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