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윈도우
- 노드
- ubuntu
- hamonikr
- Atlassian
- 스크립트
- Linux
- DATABASE
- node
- javascript
- 데이터베이스
- 아틀라시안
- 설정
- java
- 파이썬
- 자바스크립트
- 설치
- python
- 리눅스
- Windows
- postgres
- PostgreSQL
- DB
- 하모니카
- install
- script
- 자바
- 3.0
- JS
- 우분투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95)
LukeHan 의 잡다한 기술 블로그
OS : Ubuntu 22.04.2 LTS Postgres : 14.8 sudo vi /etc/postgresql/14/main/postgresql.conf postgres 외부 접속 허용을 위해 위와 같이 입력한다 ###### 기존 ###### ... #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# CONNECTIONS AND AUTHENTICATION #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# - Connection Settings - listen_addresses = 'localhost' # what..
환경 정보 OS : Ubuntu 22.04.2 LTS Jenkins : 2.401.3 sudo vi /lib/systemd/system/jenkins.service 위와 같이 입력하여 service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Environment="JENKINS_PORT=8080" jenkins.service 파일에서 위의 내용을 찾은 뒤 8080 을 원하는 port 정보로 변경한다 sudo systemctl daemon-reload 위와 같이 입력하여 service daemon 을 새로고침 한다 sudo netstat -tnlp ps -ef | grep jenkins 위와 같이 입력하여 port 가 변경된 것을 확인한다 참고 : https://jh-labs.tistory.com/386
select table_schema, table_name, pg_relation_size(table_schema||'.'||table_name), pg_size_pretty(pg_relation_size(quote_ident(table_name))), pg_size_pretty(hypertable_size(table_schema||'.'||table_name)) as pg_size_pretty_ts, pg_relation_size(quote_ident(table_name)) 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 where table_schema = 'public' order by 3 desc; pg_size_pretty(pg_relation_size(quote_ident(table_na..

Windows key + R 키를 입력하여 실행 창을 연 후 optionalfeatures 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 실행한다 Windows 기능 창 목록에서 텔넷 클라이언트 항목을 클릭 체크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 실행하여 설치 진행한다

FileZilla 의 좌측 상단 파일 > 사이트 관리자 메뉴를 클릭 실행한다 새 사이트를 클릭 실행한 후 우측에서 프로토콜을 SFTP 로 선택 변경한 후 서버 정보를 입력한다 로그온 유형을 키 파일로 선택 변경한 후 키 파일을 찾아서 선택한 후 연결한다
환경 구성 mkdir lukeTest cd lukeTest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폴더 생성 후 폴더로 이동한다 npm init -y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package.json 파일을 생성한다 { "name": "lukeTest", "version": "1.0.0", "description": "", "main": "index.js", "scripts": { "start" : "node app.js", "test": "echo \"Error: no test specified\" && exit 1" }, "keywords": [], "author": "", "license": "ISC", "dependencies": { "express": "^4.18.2" } } package.json 파일 내용..